티스토리 뷰

HTML & CSS

[HTML & CSS] The Jumbotron

Dongi 2021. 12. 14. 10:18

안녕하세요 동기 여러분! 오늘은 점보트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The Jumbotron

많은 웹 사이트들이 중요한 정보를 적어놓은 쇼케이스를 메뉴 밑에다가 두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걸 부트스트랩에서 적용을 하려면 점보트론이 필요합니다.

 

그럼 하나씩 만들어 봅시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main2.css"/>
    <link href="https://cdn.jsdelivr.net/npm/bootstrap@5.1.3/dist/css/bootstrap.min.css" rel="stylesheet" integrity="sha384-1BmE4kWBq78iYhFldvKuhfTAU6auU8tT94WrHftjDbrCEXSU1oBoqyl2QvZ6jIW3" crossorigin="anonymous">
    <script src="https://cdn.jsdelivr.net/npm/bootstrap@5.1.3/dist/js/bootstrap.bundle.min.js" integrity="sha384-ka7Sk0Gln4gmtz2MlQnikT1wXgYsOg+OMhuP+IlRH9sENBO0LRn5q+8nbTov4+1p" crossorigin="anonymous"></script>
    <title>동기의 디아블로 2 레저렉션</title>
</head>
<body>
    <header class="container">
        <div class="row">
            <h1 class="col-md-4">디아블로 2 레저렉션</h1>
            <nav class="col-md-8">
                <p>패치 노트</p>
                <p>클래스</p>
                <p>아이템</p>
                <p>토론장</p>
            </nav>
        </div>
    </header>
    <section class="jumbotron">
    </section>
</body>
</html>
  • 어제의 코드에 이어서 </header> 바로 밑에 <section class="jumbotron></section>을 만들어 줍니다.

 

        <div class="container">
            <div class="row text-center">
                <h2>동기의 디아블로 2</h2>
                <h3>패치 노트</h3>
                <a class="btn btn-primary" href="#" role="button"><b>알아보기</b></a>
            </div>
        </div>
  • <section>태그 안에 위 코드를 넣어줍니다. 
  • <div class="container> -> 부트스트랩에서 container은 기본적으로 반응형입니다.
  • <div class="row text-center"> -> 그리드를 알아볼 때 <div class="row"></div>안에 자식 태그들을 적고 12개의 columns 나누어 주는 작업을 했습니다. 여기서 row는 있으나 없으나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text-center는 부트스트랩에서 글씨를 중앙으로 정렬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a class="btn btn-primary" href="#" role="button">은 부트스트랩에서 버튼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href="#"은 아직 id값을 가진 링크가 없어서 비워 두었습니다.

이렇게 HTML 코드를 적고 실행을 해보았습니다.

처참한 모습ㅋㅋ

 


 

이제 CSS 코드를 넣어 꾸며봅시다.

첫 번째 CSS 코드

.jumbotron {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background-image: url("https://blzmedia-a.akamaihd.net/d3/media/artwork/artwork-0128-large.jpg");
  background-size: cover;
  color: #ffffff;
  height: 500px;
}
  • class="jumbotron"을 위한 코드입니다.
  • display: flex; -> 내용들이 행으로 나열되게 한다.
  • align-items: center; -> 아이템의 위치를 센터로 지정한다.
  • background-image: url(); -> 배경 이미지를 설정
  • background-size: cover; -> 이미지가 찌그러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제일 크게 설정. 이미지의 가로세로비가 요소와 다르다면 이미지를 세로 또는 가로방향으로 잘라 내어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 MDN Web Docs에서 가져온 정보 / 링크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CSS/background-size
 

background-size - CSS: Cascading Style Sheets | MDN

배경 이미지로 덮이지 않은 공간은 background-color 속성으로 채워지고, 배경 이미지에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부분을 통해서도 배경색이 보입니다.

developer.mozilla.org

  • color: #ffffff; -> 글자 색을 흰색으로 설정
  • height: 500px; -> 요소의 높이를 설정 (여기서는 배경 이미지의 높이)

 

두 번째 CSS 코드

.jumbotron h2 {
  font-size: 60px;
  font-weight: 700;
  margin: 0;
  color: #fff;
}
  • <div class="jumbotron>태그 안에 있는 <h2>태그의 관한 설정
  • font-size: 60px; -> 글자 크기를 60px로 지정
  • font-weight: 700; -> 글자 두께를 700으로 지정
  • margin: 0; -> 네 면 모두의 마진(여백)을 0으로 설정
  • color: #fff; 글자 색을 흰색으로 설정

 

세 번째 CSS 코드

.jumbotron h3 {
  margin: 0 0 20px;
  color: #fff;
}
  • <div class="jumbotron>태그 안에 있는 <h3>태그의 관한 설정
  • margin: 0 0 20px; -> 윗 방향 마진(여백) 0, 가로 방향 마진(여백) 0, 아랫 방향 마진(여백) 20px로 설정
  • color: #fff; -> 글자 색은 흰색으로 설정

 

네 번째 CSS 코드 (버튼 설정)

.btn.btn-primary {
  border-radius: 30px;
  border: none;
  color: #000000;
  text-shadow: none;
  background-color: #ffffff;
  font-size: 15px;
  padding: 10px 20px;
  width: fit-content;
  margin: auto;
}
  • <a class="btn btn-primary" href="#" role="button">의 버튼 설정입니다.
  • border-radius: 30px; -> 버튼 박스 테투리 꼭지점의 둥글기 정도를 30px로 설정 (내 생각엔 30px가 최대인 거 같다. 숫자가 작아질수록 각이 짐)
  • border: none; -> 버튼의 경계 없음으로 설정
  • color: #000000; -> 버튼에 글자색을 검은색으로 설정
  • text-shadow: none; -> 글자의 그림자를 없음으로 설정
  • background-color: #ffffff; -> 버튼의 배경 색을 흰색으로 설정
  • font-size: 15px; -> 글자 크기 15px
  • padding: 10px 20px; -> 요소의 안쪽 영역에 여백을 설정하는데 여기서는 배경 색의 범위라고 생각하면 됨. 세로로 10px 가로로 20px를 주었음
  • width: fit-content; -> 너비를 내용에 맞춤
  • margin: auto; -> 상하 여백 0, 수평은 중앙 정렬로 설정

 

다섯 번째 CSS 코드 (버튼을 사용자가 클릭했을 때의 버튼 반응 설정)

.btn.btn-primary:hover {
  color: #ffffff;
  background-color: #000000;
}
  • 위 코드를 설정해주지 않으면 부트스트랩의 btn의 btn-primary의 기본 값으로 버튼 반응이 설정된다.
  • color: #ffffff; -> 버튼에 마우스를 올리면 글자 색이 흰색으로 변하게 설정
  • background-color: #000000; -> 버튼에 마우스를 올리면 버튼 색이 검은색으로 변하게 설정

 


 

모든 코드는 집어넣었다! 실행해보자.

27인치 모니터의 반 크기로 실행한 화면

 

최대한 작게 줄여서 실행한 화면
27인치 모니터에서 전체 화면으로 실행한 화면

 

마우스를 올리자 버튼의 색이 변한다!!!

 


 

오늘의 느낌

예전에 스타벅스에 가서 콜드 브루를 시켜서 마신적이 있다. 나름 발음을 굴린다고 벤티 콜^드 브류우- 했는데 캐셔가 몇번을 못알아 들었다(내 발음이 구린것 ㅜ ㅠ. 다음에 가서 발음 안굴리니까 바로 알아듣더라...). 그래서 손짓으로 브류우- 하면서 커피가 내려오는 모션을 막 하니까 손뼉을 치더니 I got you! 하더라... ㅋㅋㅋ 그러곤 점원이 이름을 물어보는데(캐나다 카페는 보통 이름을 물어보더라) 나는 영어 이름을 쓰지 않아서 한국 이름을 말하려다가 그냥 ABC plz 했다. 어리둥절 캐셔가 쳐다보길래 "내 이름 어려워서 너 발음 못해!"라고 말해줬닼ㅋㅋㅋ

 

내 컵에 ABC를 적고 커피 만드는 직원에게 넘겨줬는데 그 직원은 ABC를 못 봤나 보다. 커피가 나오면 손님의 이름을 불러주는 역할을 맡은 직원이 있었는데 "ABC"를 외치더니 피식 웃더랔ㅋㅋ 내가 커피를 받을 때 카페에 있던 모든 사람들이 미어캣처럼 나를 바라 보았닼ㅋㅋㅋㅋㅋ 개꿀잼 외국 가면 한번 해보길 바란다.

 

그럼 20000

 


출처

점보트론의 배경 이미지 출처 디아블로3 자료실
링크 : https://kr.diablo3.com/ko-kr/media/artwork/?view=artwork-0128
 

원화 - 자료실 - 디아블로 III

 

kr.diablo3.com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 CSS] Footers  (0) 2021.12.15
[HTML & CSS] Supporting Content  (0) 2021.12.15
[HTML & CSS] Header/Navigation  (0) 2021.12.13
[HTML & CSS] On the Grid  (0) 2021.12.13
[HTML & CSS] Connecting to Bootstrap  (0) 2021.12.1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