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JavaScript

[JavaScript] Return

Dongi 2021. 9. 12. 11:13

오늘은 쉽지만 놓칠 수도 있는 내용 Return을 가지고 왔습니다. 오늘도 역시 파이썬과 함께 비교해봅시다!

 

Return

사전에 Return을 찾아보면, 돌아오다, 돌려주다, 반납하다 등등이 있는데요, 여기서는 돌려줘라 라고 해석하면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통장 잔고를 알려주는 함수를 만들 텐데 통장 총액에서 사용한 금액을 차감하는 형태의 코그입니다. 만원을 가지고 있는데 2500원짜리 야채김밥을 사 먹었다고 계산해보겠습니다.

 

 

accountTotal이라는 함수에 total, spend라는 매개변수(parameter)를 넣고 return을 써주어 '값을 돌려줘라'라고 명령도 넣고 total - spend를 한 후에 식별자(Identifier)acountTotal로 실행을 시키되 독립변수(Argument)에는 각각 100002500을 넣었습니다. 그랬더니 7500이 나오죠?

 

'값을 돌려줘라'의 명령어인 return을 안 쓰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파이썬에서는 None, 자바스크립트에서는 undefined를 돌려주네요. 둘 다 값이 없다는 소리인데... 이게 왜 이렇게 된 것이냐

 

사실 accountTotal(10000, 2500)을 실행했을 때 컴퓨터는 10000-2500은 했습니다. 다만 return이라는 명령어를 쓰지 않았기 때문에 7500을 돌려주지 않고 메모리상에서 없어졌어요. 그래서 출력 값이 None과 undefined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Return 활용해보기

Return은 명령문(statement)을 빠져나오게 해 주는데요 그것을 이용해서 지출이 통장 잔액보다 많을 시 잔액이 부족하다고 알려주게 코드를 변경해보았습니다.

얼마 전에 배운 if문을 사용해서 totalspend보다 크면 '잔액이 부족합니다.'를 출력하게 해 보았어요. return 명령어는 명령문(statement)을 빠져나오게 해 주니까 아래의 total - spendreturn은 실행되지 않고 유유히 빠져나오는 모습. 멋집니다. 마치 학창 시절 좋아하는 여자애한테 쭈쭈바나 바바나 우유 딱 주고 빠져나오는 모습처럼 간지가 나지 않나요?ㅋㅋㅋㅋ


오늘의 느낌

사실 return의 원리를 몰라도 쓰는 데는 지장이 없는데 원리를 모르니까 나중에 긴 코드를 작성할 때 깜빡하고 빠뜨리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기본부터 탄탄!!! 멋진 개발자가 됩시다. (집중해서 보셨다면 첫 번째랑 두 번째 사진에 오타를 발견하셨을 텐데 모른 척 넘어가 주세요..ㅋㅋㅋㅋ 혹시 몰라 적어두자면 account가 맞습니다... ㅠㅠ)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Function Expressions  (0) 2021.09.13
[JavaScript] Helper Functions  (0) 2021.09.13
[JavaScript] Default Parameters  (0) 2021.09.11
[JavaScript] Parameters and Arguments  (0) 2021.09.11
[JavaScript] Function  (0) 2021.09.1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