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동기 여러분! 오늘은 .format()에 대해 알아봅시다! .format()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문자열을 채워 넣기(String Interpolation) 위해서 ` `백틱스를 사용하여 그 안에 문장을 쓰고 ${}로 중괄호 안에 변수를 써주면 되었었습니다. // JavaScipt const lol = '만세'; console.log(`대한민국 ${lol}!`); # 출력값 : 대한민국 만세! 파이썬에서는 .format()을 사용해서 문자열을 채워 넣어 줄 수 있습니다. # Python lol = "만세" print("대한민국 {}!".format(lol)) # 출력값 : 대한민국 만세! lol이라는 변수에 문자열 "만세"를 선언하고 문자열 안에 중괄호{ }를 넣고.format(넣고 싶은 값)을 ..

안녕하세요 동기 여러분! 오늘은 .replace() 메서드와 .find() 메서드에 대해 알아봅시다! .replace() 영어사전에서 replace를 찾아보면 '대신하다', '대체하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그 뜻대로 .replace() 메서드는 문자열의 문자를 다른 문자로 대체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사용방법 문자열이름.replace(바꾸고 싶은 문자, 바꿀 문자) 독립변수가 총 2개가 들어갈 수 있는데 앞은 바꾸고 싶은 문자 뒤는 바꿀 문자를 넣어주면 됩니다. 해봅시다! str9 = "사랑은 돌아오는거야!!!!!!!!!!!! 부메랑 쉭쉭쉭쉭쉭" shuk_str9 = str9.replace("쉭쉭쉭쉭쉭", "슉슉슉슉슉") print(shuk_str9) # 출력값 : 사랑은 돌아오는거야!!!!!!!!!!!..

안녕하세요 동기 여러분! 오늘은 리스트에 있는 문자열 요소들을 이어 주면서 넣고 싶은 문자도 넣어줄 수 있는 .join() 메서드에 대해 알아봅시다! Joining Strings .split()은 소괄호(Parentheses)에 독립변수(나눌 기준=delimiter)를 넣어주지만 .join()에서는 소괄호 안에 리스트를 넣습니다. '넣고 싶은 문자/delimiter'.join(해당 리스트) 그럼 해봅시다! lst_str4 = ["천방지축", "어리둥절", "빙글빙글", "돌아가는", "짱구의", "하루"] str4 = " ".join(lst_str4) print(str4) # 출력문 : # 천방지축 어리둥절 빙글빙글 돌아가는 짱구의 하루 저번 시간의 노래의 정답은 짱구는 못말려 오프닝 노래였습니다. 지금..

안녕하세요 동기 여러분! 오늘은 문자열을 나눠주는 .split() 메서드에 대해 알아봅시다! Splitting Strings split을 영어사전에 찾아보면 '분열되다', '나뉘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우리는 '나뉘다'라는 뜻을 유념하면서 오늘 달려봅시다! .split() Method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문자열 이름_string name.split(나눌 기준_delimiter) dongi.split("a") # 이런식 만약 소괄호 안에 나눌 기준을 정하지 않는다면 기본값인 스페이스가 적용되어 문자열의 띄어쓰기 마다 나눠줍니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나눠 버린 문자들은 리스트로 값을 되돌려 줍니다. 그리고 나눌 기준인 delimiter는 한 가지의 독립변수만 받습니다. 해봅시다! str1 = "아..

안녕하세요 동기 여러분! 오늘은 문자열의 메서드인 .lower(), .upper(), .title()에 대해 알아봅시다! Formatting Methods 문자열을 한글로 만든다면 해당이 안되지만(혹시 몰라서 한글로 된 문자열에 전부 해보았는데 에러는 뜨지 않고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영어로 된 문자열을 사용한다면 소문자, 대문자, 그리고 제목을 작성하는 데 있어 아주 도움이 되는 메서드를 소개합니다! 메서드(Method) 사용방법 메서드의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문자열이름 = "power overwhelming." 문자열이름.메서드() 문자열 이름 옆에 . (dot)을 붙이고 사용하고자 하는 메서드명을 붙이고 ( ) (parentheses)를 써주면 됩니다! .lower() 소문자로 만들어 ..

안녕하세요 동기 여러분! 오늘은 문자열에 특정 문자가 있는지, 있으면 True로 없으면 False로 값을 되돌려주는 함수 만들기와 그 함수를 좀 더 쉽게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문자열에 특정 문자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 dongi_coding = "dongi-coding.tistory.com" def is_there(letter, words): for word in words: if word == letter: return True return False print(is_there("o", dongi_coding)) print(is_there("a", dongi_coding)) # 출력값 : # True # False dongi_coding에 "dongi-coding.tistory.com"이라는..

안녕하세요 동기 여러분! 오늘은 문자열의 두 번째 시간입니다. 문자열의 길이와 문자열 수정 불가,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 사용방법 그리고 반복문에서의 문자열에 대해 알아봅시다! 문자열 길이 구하기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len() 함수를 이용하는 것이죠! print(len("동기동기동기동")) # 출력값 : 7 문자열은 수정이 불가하다(Strings are immutable)! 아니 리스트와 같다고 생각하라 해놓고 수정이 불가능한 것은 좀... 진짜 불가능한지 한 번 해봅시다! 진짜 불가능한데 그럼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래와 같이 "웃" 더하기 인덱스 1부터 슬라이싱 한 nora를 넣어주면 됩니다. nora = "마음껏 놀고 싶구나!" laugh_nora = "웃" + n..

안녕하세요 동기 여러분! 오늘은 파이썬 문자열 첫 번째 시간입니다. 지금까지 알아본 내용과 비슷하니 빠르게 정리하고 넘어갑시다! String 문자열은 ' '(Single quotes)나 " "(double quotes), """ """ (These are might be triple double quotes? lol)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문자열의 길이(length)는 문자, 숫자, 기호, 띄어쓰기를 포함합니다. 그거 아셨나요? 사실 문자열은 리스트라는 거? 문자열은 리스트라고 생각을 해도 무방합니다. 아래의 코드를 봅시다. my_name = "Dongi_Coding" print(my_name[0]) print(my_name[-1]) # 출력값 : # D # g 이거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지 않으시나요?..

안녕하세요 동기 여러분! 오늘은 여러개의 반환값을 반환하여 변수에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Multiple Returns 리턴값을 하나가 아닌 여러개로 반환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사칙 연산 코드를 봅시다. def arith_oper(num1, num2): sum = num1 + num2 difference = num1 - num2 product = num1 * num2 quotient = num1 / num2 return sum, difference, product, quotient arith_oper라는 함수를 정의하는데 num1과 num2가 매개변수로 왔습니다. num1 더하기 num2의 값은 sum으로 선언했습니다. num1 빼기 num2의 값은 difference로 선언했습니다. nu..
- Total
- Today
- Yesterday
- Typescript
- 파이썬
- 함수
- 프로그래머스
- Margin
- for문
- 반복문
- if문
- 자바스크립트
- Object
- HTML 기본
- html table
- CSS
- em
- Python
- css position
- javascript
- Array
- html
- Type
- 객체
- 타입 좁히기
- function
- CSS 포지션
- method
- 메서드
- 동기코딩
- 실수
- 타입스크립트
- padd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